교육-초등7 [시사 상식] 챗GPT 알기와 생각할 점(고도화된 표절 활동 VS 새로운 형태의 창작) 새해 목표 가운데 하나가 신문 읽기였습니다. 그래서 한국경제신문을 구독하고 있는데, 이 신문을 구독하면 중고생을 위한 경제신문과 초중생을 위한 경제신문을 함께 볼 수 있었습니다. 우리 부부와 함께 초등생인 첫째와 둘째가 경제 신문을 읽고 매주 토요일 오전에 이야기를 나누는 시간을 가지려고 합니다. 이번 '챗GPT' 기사에 대해서는 NIE 포인트 1. 챗GPT가 언제 출시됐는지 알아보자. 2. 챗GPT를 직접 써보고 향후 생길지 모르는 문제에 대해 토론해 보자. 3. 어떤 기업들이 대화형 인공지능 시장에서 경쟁하는지 조사해 보자. 와 같은 질문 세 가지가 있었습니다. 이처럼 청소년과 어린이 신문에는 'NIE 포인트'와 같이 핵심 질문이 있어 그것을 활용해 이야기를 나누면 좋을 것 같습니다. 오늘 오전에 신.. 2023. 2. 11. [글쓰기 방법1]쓸거리가 있어서 쓰는 게 아니라, 쓰면 쓸거리가 생각난다.(feat. 강원국의 글쓰기, 자이가르닉 효과) 저는 글쓰기에 관심이 많아서 글쓰기 관련 책을 꾸준히 읽습니다. 제 서재의 한 자리에 모아둔 글쓰기 관련 책이 이것저것 많이 있네요^^; 소설가나 글쓰기와 관련한 직업을 가진 작가가 쓴 글쓰기 책, 글쓰기 교육에 관한 책, 아이디어를 내는 방법에 관한 책, '논술이나 자기소개서'와 같은 진학이나 취업 목적 실용글쓰기 관련 책,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학문이나 실용 목적 글쓰기 책... 등 정말 다양한 글쓰기 책이 있습니다. 글쓰기를 어려워하는 사람이 많지만 이공계열 대학생을 특정 독자로 하여 쓴 글쓰기 책이 눈에 띕니다. 앞으로 글쓰기 책을 읽으면, 그 비법을 정리해 보려고 합니다. 오늘은 '대통령의 글쓰기'라는 책의 저자로 유명한 강원국 선생님이 쓴 『강원국의 글쓰기』를 읽으면서 가장 인상깊었던 부분을 .. 2023. 2. 6. 역사는 우리를 올바른 선택으로 이끌어 준다(feat. 『어린이를 위한 역사의 쓸모』① 3장 '고구려는 광개토 태왕이 다 한 것 아닌가? 선택의 힘') 1. '고구려'라는 나라를 생각하면 떠오르는 인물은 누구인가요? 주몽? 광개토대왕? 우리는 아마도 이 분을 떠올릴 것입니다. 대개 떠오르는 인물들은 나라를 세웠거나 가장 큰 업적을 남긴 인물이지요. 비단 고구려뿐만 아니라, 신라나 백제를 떠올릴 때는 마찬가지이지요. 그런데, 최태성 선생님은 '고구려는 광개토 태왕이 다 한 것 아닌가요?'라는 질문을 던집니다. 『어린이를 위한 역사의 쓸모』① 중 3장 '고구려는 광개토 태왕이 다 한 것 아닌가? 선택의 힘'이라는 글을 읽고, 광개토대왕께서 큰 업적을 남기기 전 기틀을 다진 소수림왕의 선택과 그 선택의 힘에 대해 생각을 했습니다. 2. 소수림왕은 어떻게 나라를 강하게 만들었나요? 고구려의 위기와 대응은 아래와 같았습니다. 매번 전쟁의 위기를 이겨 내고 차근차.. 2023. 1. 28. 초등 일기 쓰는 법 : 사건-생각-감정(feat. 우리가 일기를 쓰는 이유) 선생님께서는 일기 쓰기를 방학 숙제로 냅니다. 그 이유가 무엇일까요? 어디든 학교의 선생님은 일기 쓰는 일은 멋진 일이고 중요한 일이며 꼭 해야 하는 일 이라며 강조를 하셨습니다. 오늘은 '일기를 미루고 있다면 (자녀와 함께!!!) 꼭 보세요. / 일기 잘 쓰는 3단계 비법'이라는 영상에 담긴 내용을 참고하여 '우리가 일기를 쓰는 이유'에 대해 생각을 해보고 '일기 잘 쓰는 3단계 비법'을 알아보고자 합니다. 1. 우리가 일기를 쓰는 이유 1) 글쓰기가 모든 창작의 기본이고 이 글쓰기 중에서도 가장 편안하게 내 맘대로 쓸 수 있는 것이 일기다. 2) 나를 발견하게 해준다. 일기는 나를 see, 보려고 적는 거예요. 알아차림, 내가 나를 알아차려야 해요. 나를 지켜보는 사람은 부모님, 선생님도 있지만 제일.. 2023. 1. 20. 이전 1 2 다음